영화 『더 스파이』
도미닉 쿡 감독
주연 : 베네딕트 컴버배치(그레빌 윈 역), 메랍 니니트쩨(올레크 펜콥스키 역)
전운이 감도는 1960년 냉전시대, 소련 군사정보국 ‘올레크 대령’은 정부의 눈을 피해 핵전쟁 위기를 막을 중대 기밀을 CIA에 전하고자 한다. CIA(미국)는 MI6(영국)와 협력하여 소련의 기밀문서를 입수하기 위해 영국 사업가 ‘그레빌 윈’을 스파이로 고용해 잠입에 성공한다. 정체를 감춘 채 런던과 모스크바를 오가는 ‘그레빌 윈’과 ‘올레크 대령’의 은밀하고 위험한 관계가 계속될수록 KGB(소련)의 의심은 커져가는데... 가장 평범한 사람의 가장 위대한 첩보 실화 때론, 한 사람의 용기가 세상을 바꾼다! (출처:네이버 영화)
KGB: 옛 소련 시절 자국 국민을 감시,통제하고 대외 첩보 활동을 벌인 비밀경찰 및 첩보조직. 소련의 국가보안위원회
제 게시글에는 스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어떤 영화든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는 '있을법하다.'가 아닌 '진짜 있었구나!'라는 마인드로 영화를 감상하게 된다.
특히 이번 『더 스파이』는 기간이 얼마 되지 않은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한 영화라서 더 Real하게 느껴졌다. 만약 KGB가 이 영화를 본다면 과연 어떤 기분이 들까? 물론 반역자랍시고 처형을 했지만 굉장히 불쾌하게 영화를 받아들일 것 같다. 미국과 제3국들의 입장에선 전쟁이 나지 않았음에 감사하고 기뻐하겠지만 말이다.
그레빌 윈은 평범한 한 가정의 가장이다. 하지만 그의 비하인드 업적은 평범하지 않다. 영화 엔딩 부분에 그들의 업적이 간략하게 소개되는데. 실제로 이 둘의 수집+전달한 첩보량이 5천개가 넘는다고 소개가 되었다. 그 당시엔 USB나 외장하드 이런 것도 없었을 때인데.. 그때의 기준으로 생각하면 상상도 못 할 양이라고 생각된다.
물론 어느 첩보영화에서처럼 순탄하게 흘러가지 않는다. 결국엔 KGB의 감시망에 잡히게 된 펜콥스키. 그 사실을 알게 된 그레빌은 펜콥스키를 돕고자 마지막이 될 수 있는 러시아로 이륙하게 되는데.. 역시나 그레빌 또한 펜콥스키와 같이 강제수용소로 붙잡혀 가게 된다. 수감된 동안 KGB로부터 그레빌은 온갖 수모, 고통 그리고 유혹에도 끝까지 비밀을 지켜내는데 그의 의지가 실로 엄청나다. 이렇게 글로 설명하기엔 그의 의지가 너무 대단하여 영화를 통해 느꼈으면 한다.
현실이나 영화나 비밀요원들은 훈련이라도 받았겠지만 그레빌은 그러한 훈련도 없었는데도 말이다. 나였으면 과연 버텨낼 수 있었을까? 기간을 미리 말하자면 약 2년! 미쳤다.. 기간을 알고도 못 버티겠고 모르고는 더 못 버텼을 것이다.(무기한적이라 생각되어..)
누구든 모든 순간 모든 장소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감시를 당하고 있음을 느낀다면 과연 정신적으로 버텨낼 수 있을까? 심지어 1분 1초가 급한 상황에서 숙소에서도 마음 놓고 대화를 못하는 장면이 안타까우면서도 그 급박한 상황을 절절하게 표현해준 감독과 배우들께 감사할 정도로 인상 깊은 장면이었다. 나의 주관적인 베스트 명장면!! (스틸컷이 없다. 이 부분은 영화로 꼭 보시길!!)
강제수용소에서 둘의 만남 또한 인상깊은 장면이다. 둘의 면회를 통해서 스파이 행각을 밝혀내려고 했으나 실패로 돌아간 KGB. 오히려 그 상황을 통해 펜콥스키는 자기의 신념과 목표를 확인하는 순간이었을 것이다.(눈물 흘릴 뻔..)
죽기 직전까지 그레빌과의 약속을 지켜낸 펜콥스키(자신은 처형당할 운명이란 걸 알면서도..) 그를 도우려 한 그레빌(강제수용소에 잡히게 되면 수년간 옥 생활을 해야 함을 아는..) 이 둘의 국경을 넘은 우정. 가족을 위한 헌신. 그리고 국가와 국민을 위한 희생. 정말 영화의 빈틈없는 스토리를 감상할 수 있다.
나의 주관적인 점수는 10점 만점에 9점!!
(첩보 스파이 장르를 좋아하는 나에게는 만족도 높은 영화였다)
『보이저스』(2021.05) (0) | 2021.05.28 |
---|---|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2021.05) (0) | 2021.05.22 |
『스파이럴』(2021.05) (0) | 2021.05.16 |
『내일의 기억』(2021.04) (0) | 2021.04.23 |
『서복』(2021.04) (0) | 2021.04.20 |
댓글 영역